*2021.01.31 영어 자막이 추가되었습니다. (번역자: Kate Ahn) *2021.02.04 이탈리아어 자막이 추가되었습니다. (번역자: 신재준) *비즈니스 문의: iooodhie@gmail.com *인스타그램: bit.ly/3gbHgsy *이 영상은 [주사위씨]님과 [PTD]님, [강필호]님, [장윤성]님의 제안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자주 제기되는 질문에 대해 공식적인 답변을 남깁니다. - 왜 파스타를 손으로 집어먹을까? (2021.01.21. 22시 16분 추가) 르네상스 이전까지만 해도 유럽 대부분의 지역은 포크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나이프와 스푼만을 이용했고, 대개 손으로 집어 먹었습니다. 포크가 이교도인 로마 검투사들의 삼지창을 연상케 하는데다, “신께서 손가락이라는 완벽한 도구를 주셨는데 왜 포크를 사용해야 하냐”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아랍과 동로마제국-비잔틴제국에서는 사용했습니다.) 포크는 르네상스를 전후해 이탈리아 상류층에서 먼저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17세기 즈음 프랑스로 전해지면서 퍼져나갑니다. 물론 이것도 상류층의 이야기였고, 일반 민중의 경우 포크를 쓰려면 19세기까지 기다려야 했습니다. 이전에 포크를 만드는 재료는 금이나 은, 상아처럼 사치품이었기 때문입니다. *참고 문헌 알레산드로 마르초 마뇨 《맛의 천재》(2016) 크리스토프 나이트하르트 《누들》(2007) 이케가미 슌이치 《파스타로 맛보는 후룩후룩 이탈리아 역사》(2015) 댄 주래프스키 《음식의 언어》(2015) 안대회 외 《18세기의 맛》(2014)
파스타, 스파게티는 이탈리아라는 합쳐진 나라의 정체성을 의미하는 음식 문화였네요 예전에 일본에 놀러가서 아는 일본인 친구랑 같이 규동이나 카레를 자주 먹었었는데 비슷하게 쌀밥을 먹는 식문화를 공유하는 덕택에 또 친근해질 수 있었던 기억이 나네요 제가 가서 먹어본 일본 음식 대부분을 아무런 거리낌이나 부담 없이 맛있게 먹으니까 일본인 친구들 입장에선 더 호감이 갔던 듯해요 ㅋㅋ
2개월이나 지나서 단 답글이라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간단히 님의 궁금증에 대해서 답해드립니다. 인류 최초의 술은 과실주 그러니까 와인과 같은 술이라고 봅니다. 구체적인 기록은 없지만 기원전3~4천년에 이집트 문명이나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무역 기록에 와인이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체적으로 당분을 가지고있어 조건만 맞으면 자연적으로 발효가 되는 과일주의 특성상 만들기가 가장 쉽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18년차 이탈리안 요리사 입니다. ^^ 이태리 사람들이랑만 7년 이상 일하다 보니.. 파스타란 말이 반죽하다라는 동사 impastare 에서 나왔따고 말해줬던 기억이 납니다. 임빠스따레~ 이러면서 여기에서 나왔다고 말했어요, 그리고 임빠스따레 자체가 명사로도 쓰이는데 반죽이라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파스타라는것 자체가 밀가루 반죽이라는 큰 의미입니다. 이태리 사람들이 보기에 우리나라 만두피도 파스타고, 국수도 파스타죠 ^^ .. 근데 그게 다였는데 역사적인 좋은 정보 여기서 다보고 가네요 ^^
안녕하세요, 이 영상의 이탈리아어 번역을 맡은 신재준이라고 합니다. 그런 뒷이야기를 알게 되어 좋네요. 저 역시 '반죽'을 지칭하는 말이 pasta와 impasto 두 가지가 있기에 영상자막엔 pasta를 대체할 명사인 impasto라는 명사로 번역했습니다. impastare는 그것의 동사형이지만 아쉽게도 자막 원문에서는 쓸 곳이 없더군요. 좋은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파스타가 반죽을 이르던 명칭이었던 때가 있었고.. 그리고 스파게티가 마카로니로 통칭해서 부르던 때도 있었다라.. 이제서야 조금 의문이 풀리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터키에 잠시 살았을때 정말 의아했던것이 터키에선 '파스타'가 케익이나 쵸코같은 양과자를 가르키는 말이고 스파게티같은 면요리는 모두 '마카라나'라고 불리더군요.. 터키가 완전 아랍은 아니지만 그래도 중동 아랍권에 걸쳐있으므로 그 옛 명칭들이 그 시절 그대로 좀 남아있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드네요 .. 그리고 중동아랍권의 만연한 화덕에 굽는 넓직한 빵 문화(피데)와 이탈리아의 피자의 연결고리도 탐구 해볼 예정입니다. 이탈리아와 중동은 역시 연결고리가 많은듯.. 아무튼 이오님 영상을 보고 랄부.. 아니 무릎을 탁!!! 짱입니다♡♡♡
파스타 밀요리지만 우리가 먹는 밀가루 아니고 유럽밀종류 경질밀은 노랑색 통밀정도 밀도입니다 밀가루 3종류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나누고 파스타 강력분+중력분 사이 밀도라고 생각하면되요 누들로드 보면 알지만 파스타 아랍권 음식 밀을 분쇄 물+밀가루 모양을 만들어 태양 바람 건조시킨 보존음식입니다 아쉬운점 스프 손에 먹는 문화 쌀 작은크기 음식이 되었다는 점이에요 파스타 다른 음식이 되었지만 기본제작 방법은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