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Thoughts on using ChatGPT for assignments? 

셜록현준
Подписаться 1,3 млн
Просмотров 319 тыс.
50% 1

#chatgpt #chatgpt4
What do you think of using ChatGPT for assignments?

Опубликовано:

 

10 май 2023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38   
@thdgo456
@thdgo456 Год назад
3줄 요약 1. ChatGPT가 인터넷 시대보다 인간과 인간의 연결을 비약적으로 늘려줬다. 2. 단순 작업을 ChatGPT가 하면서 초급인력이 대체되고 지금 초급인력으로 시작하는 사람이 전문가가 되기 어려워진다. 3. 나만의 알고리즘(정보 습득 및 편집)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user-ed2vq1pq5u
@user-ed2vq1pq5u Год назад
초급인력이 대체된다는게 무척 아쉽네요
@dumbstruck1111
@dumbstruck1111 Год назад
​@@user-ed2vq1pq5u과거 부터 있었던 현상이죠 전문직같은 숙련자들에게 ai발전은 보완재가 될것이고 경리같은 비숙련자들에겐 대체재죠 그런데 만약 ai가 고급 전문직 까지도 대체할 만한 정도로 성장한다면 현 직업의 90프로이상은 사라질겁니다
@NI-NI-.
@NI-NI-. Год назад
어휴 빠른 말로 짧은 시간에 책 한 권을 써내시는 것 같은 교수님👍
@RoadWinVJF
@RoadWinVJF Год назад
ㄹㅇ 괜히 교수님이아닌듯
@KCK4444
@KCK4444 Год назад
극 공감 ^^
@MrAlstm0117
@MrAlstm0117 Год назад
본인책에 있는 내용이예요. 생각정리가 잘 되있어서 이야기를 잘 풀어내시는 것 같아요 ㅎㅎ
@NI-NI-.
@NI-NI-. Год назад
@@MrAlstm0117 아~ 책도 쓰셨군요.
@hyden1414
@hyden1414 Год назад
@@MrAlstm0117 혹시 말씀하신 책 제목 알수 있을까요?
@MrYousungjin
@MrYousungjin Год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미래는 각자가 크리에이터가 되야 할 것 같네요. 스스로 생각하고 경험해야한다는것. 나만의 알고리즘이라는 말씀 가슴에 확~! 와닿네요.^^
@jinhokim3693
@jinhokim3693 Год назад
항상 생각의 지평을 넓혀 주셔서 감사합니다.
@blulight8599
@blulight8599 Год назад
역시.. 유현준 교수님 생각에 많이 배웁니다. 최근 인공지능에 관한 SF소설책 아이오니아를 읽었는데 이 작가도 인공지능과 인간에 관해 깊은 통찰을 보여주더라고요. 젊은 작가인데 미래를 잘 그렸다고 생각합니다. 추천드려요.
@fox_ribbon
@fox_ribbon Год назад
나는 유튜브로 인해 교수님의 뇌와 연결되었다...
@jhj4005
@jhj4005 Год назад
재미도없고 의미도없고,,
@Yunisgood
@Yunisgood Год назад
재미있는데요..
@baro_pk
@baro_pk Год назад
​@@jhj4005뇌가 딸려서 재미가 없나보네요..화이팅하세요!😂
@user-rp8hx5ls5j
@user-rp8hx5ls5j Год назад
​@@jhj4005진짜 틀딱들 유튜브에 많이 유입됐네
@hh9514
@hh951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의미도 있죠
@daesoolee1083
@daesoolee1083 Год назад
인공지능 연구자 입니다. 교수님 답변에 감탄하고 갑니다.
@newwave2873
@newwave2873 Год назад
정확히 관통하시네요. 지식보단 그것을 관철할 수 있는 insight "통찰력"을 기르는게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user-TOTO1103
@user-TOTO1103 Год назад
인간의 뇌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진화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관점을 한번도 생각해 보지 못하였는데 이 강의를 통해서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게 된 것 같고 다른 나라 언어 공부의 필요성도 느끼게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user-ku7ov6dk1p
@user-ku7ov6dk1p Год назад
멋져요. 동의하는 부분도 많고 비슷한 생각을 가지신 것 같습니다. 더 확신이 들었고, 감사합니다.
@RJ_1004
@RJ_1004 Год назад
저만의 알고리즘 중 몇 되는 분류에 있는 셜록 현준 채널☺️ 건축 관점으로 보는 세상 넘 좋습니다.
@novicemaster
@novicemaster Год назад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ChatGPT가 뻥치는지 안 치는 지 구별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 자식 정말 뻔뻔하게 뻥을 치더라고요. 장영실에 대해서 물어봤더니 금강산에 터널을 뚫었다고 하질 않나...
@seoulvibeseoulista3544
@seoulvibeseoulista3544 Год назад
애기 다루듯 소질문 몇개 툭툭 던지면서 하나씩 유도하면 답을 잘 하긴해요
@almondblossom7
@almondblossom7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감사합니다.
@hyunsoojung7659
@hyunsoojung7659 Год назад
인간이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점점 확장되어가고 그 확장의 정도가 넓어져 chat GPT에서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단 말씀에 반 정도만 동의하게 되네요. 아날로그 세대를 경험한, 즉 확장이 이루어짐을 체감한 세대(좁게는 베이비 붐 세대, 셜록님 위부터 X세대, M세대? 정도)는 병렬적 연결을 느끼겠지만, 그 이후의 세대(Z세대랄까요?)에게는 오히려 분절된 느낌도 있을 것 같아요. 확장이 계속 이어지다 오히려 확장임을 인식조차 못하는 확장인식의 마비랄까요.... 그리고 chat GPT 다음 세계에는 셜록님 말씀대로 자신의, 자신만의 수집된 정보 편집과정이 중요해지겠지만 그 이전에 현상을 바라보는 문제의식이 수반되어야 할 것 같단 생각도 듭니다. 문제라고 느끼는 민감성이야 말로 성장, 변화, 발전이 더 어려워지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이라 생각됩니다. 딴지는 아니구요^^;; 애청자로서 의견 남겨보았습니다. (학술대회 발표에 질문 남기는 기분이네요) 즐겁게 구독과 시청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fi4gu8qt5r
@user-fi4gu8qt5r Год назад
인간다움은 개개인들의 각기 다른 경험과 그로인한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나만의 알고리즘 만들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삶을 살아가면서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반성과 피드백으로 나만의 알고리즘과 주체적인 선택을 하는 것, 그점을 우리가 인지해야 한다는 생각을 요즘 많이 하고있습니다.
@asdf-cb9ix
@asdf-cb9ix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강의영상을 보다보면 제재는 다 달라도 결과적으로 핵심적인 효과나 발달 과정은 비슷한 게 많은 것 같아요. 잘 보고 있습니다.
@hook772
@hook772 Год назад
저는 다른 분야에서 일은 하지만 역시 한 분야의 고수의 통찰력은 공감이 되는거 같아여 장르를 넘어서서. 한편으로는 제가 이미 한분야에서 15년이상을 일해서 전문성을 쌓았고 커리어가 있어서 다행이다 생각이 드네요. 정말 수준 높은 인턴 여러명을 거둔거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해요 (글을 쓰는 능력과 데이타 분석하는 쪽에 ChatGPT 가 특화 되어서 더욱더).
@mjk-krtr
@mjk-krtr Год назад
언어와 감정만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래서 작가만큼은 대체되지 않겠지라고 생각했죠. 그러나 챗GPT가 나온 뒤론 제 생각이 틀렸다는 걸 알게됐어요. 아이러닉하게도 이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건, 원시시대로 다시 돌아가, "몸"과 "감정"뿐일 거 같습니다. 2016년, 알파고가 등장했을 때 지금은 고인이 되신 이어령 선생을 인터뷰한 적 있었습니다. AI시대에 어떤 교육이 필요하겠느냐는 질문에 이어령 선생님은 "내비게이션이 나왔다고 해서 인간의 길찾기 능력이 훼손당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내비게이션을 활용해서 길을 찾는 경험으로 확장됐다."고 답하시면서 "인간을 인간이게 만드는 고유한 능력을 찾아야한다."고 하셨죠. 그 뒤로 여러 직업을 거치면서 결국 지금은 사교육 업계서 일하는 중인데 강의 준비를 할 때마다 계속 고민합니다. 이 친구들이 커서 살아갈 세상에 제일 필요한 게 뭘까? 문해력과 질문력. 내비게이션 설명서를 읽고, 내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하는 그 능력. 그것만큼은 모두에게 평등하게 주어져야겠구나 하는 생각으로 수업하고 있고, 향후 5년 이상 수능 시스템을 지켜보다가 더이상 수능이 아이들을 위한 평가가 아니라 어른들 밥벌이로만 활용되고 있다는 확신이 들면.. 저는 펜과 책을 내려놓고 많은 "사람"들의 건강한 몸과 정신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일들을(요가나 명상 티칭, 웰다잉의 방법.. 등)해야 하겠다 마음먹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오랜만에 많은 생각을 했던 인사이트였습니다.
@user-rq2hf5bh7f
@user-rq2hf5bh7f Год назад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저도 댓글 읽고 인간다움에 대해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었어요!
@mjk-krtr
@mjk-krtr Год назад
@@user-rq2hf5bh7f 인수님 감사합니다:)
@ZeroPepsi443
@ZeroPepsi443 Год назад
좋은 댓글이네요!
@swimmermark1825
@swimmermark1825 Год назад
최근에 보았던 댓글 중에 가장 훌륭한 댓글입니다. 생각보다 AI 발달이 너무 빠른 것 같아 인간성의미 자체가 훼손되지 않을까 싶었는데 제가 고민하고 있던 부분에 대해 가장 명쾌하게 답변을 제시해 주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sync2ne198
@sync2ne198 Год назад
이 영상의 내용또한 , 역시 교수님만의 알고리즘에서 나오는거겠지요 기술의 발전에 놀랄때도 있지만, 겁이날때도 종종 있는 요즘입니다
@user-nowhere
@user-nowhere Год назад
저도 챗지피티보면서 같은 생각을 했어요. 초급자가 전문가로 가기위한 경험치들이 필요할텐데 그건 어디서 얻을수 있을지. 설국열차생각이 나더라구요. 판단하고 결정하는 권력과 정보는 소수의 사람들이 갖게되고 인간의 노동력은 기차부품처럼 일하는 아이들정도의 가치로 전락하는건 아닐까하는. 기계나 ai가 돌아가게 하기위해 기술로 대체되지 못한 극소수의 단순노동만 남게되는건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user-kv9uw5rk3r
@user-kv9uw5rk3r Год назад
고급진 정보를 가공하는 능력을 키우기위해 많은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접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도움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user-loft
@user-loft Год назад
최근 교수님 채널에 마음이 닿아서 계속 보고 있는데, 매번 좋은 인사이트를 제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
@user-wd6re8te3b
@user-wd6re8te3b Год назад
생각해야할건 이제부터 시작이라는거지 1950년쯤에 만들어진 30톤씩이나 했던 컴퓨터가 요즘 계산기보다 못한 성능이었던것을 생각하면.. 죽기전쯤엔 어마어마한걸 볼거같다
@js-kp1uh
@js-kp1uh Год назад
아예 안죽게 될수도?
@zenkp1058
@zenkp1058 Год назад
내일 죽을수도 있는겨~~
@_Media_Literacy
@_Media_Literacy Год назад
@@zenkp1058 내일 죽을 수도 있는 거 맞기는 한데, 그렇게 벌써 수십년을 살아오고 있다는 게 함정... 인생 생각보다 길어요ㅋㅋ 가난하면 더 길구요ㅋㅋㅋ
@Musket_Ukraine
@Musket_Ukraine Год назад
@@zenkp1058 말의 요지가 그게 아니지 않나? 너 지금 말장난해? 말을 이해 못하겠으면 가만히 있어야될 거 아니야
@user-cf1ec8jo6u
@user-cf1ec8jo6u Год назад
행성으로 부층 다 이민가고 남겨진 사람들은 삭막한 지구를 견디고 살고있을지도 모르지
@MidkingLingardoo
@MidkingLingardoo Год назад
gpt가 나오기 이전에도 교육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가 있을거라고 했었죠 학교에서는 실기,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이론적인 것은 개인에게 자율적으로 맡길 것 같습니다 좋은 학원에서는 체계적으로 본인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수업자료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공교육이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빨리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시장을 주도하는 사교육기관이 공교육을 완전히 무너뜨릴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KIMDDUSHI
@KIMDDUSHI Год назад
대학에 다니는 목적이 스스로의 발전이 아니라 취업용 학점 뽑아내기다보니 이런 일이 생기죠... 하고픈 일이면 대충 떼우고 그런일 없을텐데
@Yunisgood
@Yunisgood Год назад
인공지능이 흉내낼수 없는 나만의 알고리즘..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kellykim5613
@kellykim5613 Год назад
거짓정보인지 아닌지 의심!!!! 항상 이렇게 그냥 이 지식을 얻어도 되나?!!! 생각해요. 감사합니다❤❤❤❤
@KCK4444
@KCK4444 Год назад
영상 내용을 정리하고 확장하면 한 권의 책인데요? 감탄을 자아내는 서평 같기도 하네요~ 오늘도, 아니 오늘 더 특별히 교수님의 지혜와 통찰력과 분석력, 전달력에 감탄하며 일상으로 나아갑니다~~ - 왓슨 -
@user-bk7xn4nw5j
@user-bk7xn4nw5j Год назад
정말 감사합니다.
@jeongho6
@jeongho6 Год назад
chat gpt는 거짓말을 그럴듯하게 하는게 제일 문제인것 같아요. 왜 그런 거짓말을 했냐고 물어도 구글 검색을 통한 결과라고 변명도 거짓말을 함. 그래서 일론머스크가 거짓말없는 인공지능을 만든다고 했을때 정말 공감했습니다.
@calm_mn
@calm_mn Год назад
다양한 분들의 댓글을 보면서 영상의 댓글을 다는 것이 내 생각을 정리해서 나만의 알고리즘으로 만드는 연습일 수 있겠구나 생각이 드네요. 양질의 콘텐츠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mw7kr2ou8e
@user-mw7kr2ou8e Год назад
살짝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하나 있는데, ChatGPT같은 모델은 대답할때 정보를 어디선가 뒤져서 취합하지 않습니다. 질문이 들어오면 인터넷에 접근해서 정보를 모아서 답변하는게 아니라 인터넷 각지에서 모은 정보로 학습된 모델이 있어서 사용자의 질문에 대답할때는 자기 안에 있는 내용으로만 답을 합니다. 그래서 좀 자주 안 나오는 내용은 모르는 것도 많고, 틀린 이야기도 자신있게 하며, 최신 정보는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말씀하신 느낌의 정보를 취합하는 AI는 Bing Chat이 있습니다. 그건 실제로 인터넷에 검색해서 정보를 받아와서 답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물론 이 사실이 주제를 해치지는 않고, 그냥 마음에 걸려서 말씀드려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Год наза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QueeNYHJ
@QueeNYHJ Год назад
감탄하고 배우고 갑니다❤
@myoungkim8092
@myoungkim8092 Год назад
오늘 강의 잘 듣고 갑니다. 시대 흐름을 따라서 하며 자신의 독특한 지혜와 능력으로 앞으로 의 삶을 생각하며 살아가는 길로 인도해 주심에 감사 드립니다 . ❤
@jinheyj
@jinheyj Год назад
와 챗gpt 필요없네요 교수님의 집약력과 정제성에 감탄
@CongNim
@CongNim Год назад
말씀하신대로 결국에 우리가 가꿔야되는 것은 통찰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통찰은 지나온 인류의 시간적, 공간적인 연결과 그것에 대한 사유를 통해서 얻어지는건 뻔히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책을 가까이 하기엔 저 자신이 너무 산만해지고 있는 느낌입니다. 너무 흥미를 끄는 것들이 많아진 것 때문인지 너무 많이 병렬로 연결되어 정신을 못차리는건지.. ㅋㅋ 이번 달은 아예 책을 건들지도 않은 것 같네요. 다시 좀 차분해져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많이 느끼고 갑니다.
@eunsookji5206
@eunsookji5206 Год назад
궁금했는데. 교수님 설명을 듣고 조금은 이해가되네요. 감사합니다.
@user-st1yi4jc2j
@user-st1yi4jc2j Год назад
다음주에 뵈러가는데 기대가 되네요 :)
@hasoumhwang4542
@hasoumhwang4542 Год назад
교수님 !! 정말 많이 배우고 갑니다
@PJ-zf2im
@PJ-zf2im Год назад
공감됩니다. 이젠 어떻게편집하느냐가 중요한거같습니다
@A.rAe.A
@A.rAe.A Год назад
완전 공감하는 말.. 앞으로 회사측에서는 아마추어를 뽑을 이유가 없음. 모든 분야에서 특정 레벨까지는 모두 ai가 작업할거고 인간은 그걸 각자 입맛에 맞게 조금만 수정하면 됨. 여기 교수님 말씀대로 중간과정이 사라졌음
@freehamsters
@freehamsters Год назад
구굴이 bard에게 이 영상 어캐 생각하 물어봣더니 AI 가 자신에 대한 이 영상에 대해 상당히 흥미롭게 여기는듯해요
@winterbird.
@winterbird. Год назад
진짜 간결한 정리네요 크으 결국 개인의 알고리즘을 스스로 만드는 것이 챗지피티든 인생이든 큰 관건이겠네요
@sukyoungpark9556
@sukyoungpark9556 Год назад
챗GPT같은 생성형 AI가 나오면서 디지털 세상에서 단순 소비자로만 살지 말고 유능한 생산자로서 살 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 같기도 합니다. 제대로 질문하고 답변을 제대로 판독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ib1tp1nl1u
@user-ib1tp1nl1u Год назад
인공지능과 기술은 발전되고 있는데 제도는 여전히 멈춰있다고 봐요 대학을 보자면 기술은 점점 효율적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대학은 여전히 점수채우기에 급급하죠 쓸모없는 강의를 들을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생기고, 듣고싶지만 못듣는 강의도 생겨요 그러다보니 챗gpt로 해결해버리고 다른 일에 집중하는 사람도 보이더라구요 교육적인 측면에서 제도와 방식이 좀 더 발전되고 효율적으로 바뀌었으면 좋겠네요
@user-cf1ec8jo6u
@user-cf1ec8jo6u Год назад
따라가지 못하는 한 오프라인 학교는 수명을 다했다고 봐야죠.
@user-pt7uu6yj8m
@user-pt7uu6yj8m Год назад
아니 근데 프로필 사진 진짜 방구석 돼지육수남같음ㅋㅋㅋㅋㅋㅋ 으 화이팅
@rohkki9460
@rohkki9460 Год назад
chat GPT 같은 인공지능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지금과 유사하게 발전하고, 그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의존하다가 인간이 가지는 개성과 논리가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더구나 chat GPT에서 전문적인 지식까지 다루어주니 더 큰 문제 같습니다. 스스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지 않으려 할 것이고, 전문가 집단에 대한 무시도 공존하겠죠. 이게 쌓이다보면 지식마저도 양극화되지 않을까 생각하네요. 누군가 질문하면 바로 답하지 못하고 "chat gpt 한테 물어봐볼게“ 라고 하는 시대가 올까 두렵습니다.
@whatisit-musun129
@whatisit-musun129 Год назад
교수님 뮤지엄산에서 안도 다다오 첫 개인전을 하고있던데 가보실껀가요?? 만약 가신다면 연세대 캠퍼스 설명처럼 안도 다다오 건축에 대해 설명하시면서 영상찍으시면 재밌을거 같아요
@blk2728
@blk2728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JamesHong2357
@JamesHong2357 Год назад
그러게요 챗GPT가 준 정보를 판단하고 편집하는 능력이 새롭게 필요한 능력이겠네요ㅎㅎ
@14x129
@14x129 Год назад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innerpeace4838
@innerpeace4838 Год наза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이 당연한 흐름이라면 ‘어떤 질문’을 할 것 인가가 역량의 차이를 보여주겠네요.
@JT-HOUSE
@JT-HOUSE Год назад
챗GPT를 진짜 특별한 시선으로 바라보는게 대단하다. 이런 시선으로 해소할 수 있는 사람이 정말 나중에 살아남는 사람이 되지 않을까?
@user-km8gq4rk3p
@user-km8gq4rk3p Год назад
한분야의 전문가는 여러분야로 적용될 수 있어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chococake_piece
@chococake_piece Год назад
융합인재가 더더욱 필요한 시대가 온거 같아요 1인 1전공 스택이 아닌 1전공 + it스택1개를 가진 장점이 융화되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user-gi7td3pq8w
@user-gi7td3pq8w Год назад
ㄹㅇ 아직도 수능에서 사탐이런거 외우는거 보면 ㅋㅋㅋㅋㅋ
@jlssmh940
@jlssmh940 Год назад
잡을 얻기 1년전인 건축학 공부하는 아들이 있는데 ..ㅠㅠ 나만의 알고리즘 개발해야 한다는 말씀 감사
@user-tq2uh2py4q
@user-tq2uh2py4q Год назад
챗GPT를 사용하면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문제들도 조심해야겠더라구요 여러모로 인간에게 유용한 것이긴 하지만 이런 부작용들에 대해서 이용자들이 경각심을 가지고 사용해야 할 것 같어요..
@Zhengtaifan
@Zhengtaifan Год назад
이제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더 질문을 잘 할 수 있는가....가 중요해 질 거 같아요
@unknown-bg8jq
@unknown-bg8jq Год назад
인공지능과 과학의 발전이 인간이 기피하는 단순노무나 위험한 일등을 줄여줘야 하는데, 인간이 보편적으로 가치있다고 느끼고, 하고싶은 수요가 있는일을 대체하게 되는 상황이 어떤면에서는 또 사회적 갈등의 요소가 될것 같아요...
@mashizzung9990
@mashizzung9990 Год назад
stable diffusion이 나온 이후로 그림 그리시는 분들의 근황과 비슷하게 갈 것 같습니다. 최정상의 실력을 가지신 일러스트레이터, 만화가들은 타격이 없거나 오히려 가치가 올라가는데, 그림 입문하시는 분들은 당장 ai 그림과 차별화가 되어야 살아남으니
@user-vi5fz7mu2f
@user-vi5fz7mu2f Год назад
빠르게 변화하는 과학의 힘~ 대단합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으로 능력을 길러 줘야 할 거 같네요
@hirit418
@hirit418 Год назад
발전한 신 문물을 접할수록 미래의 기회가 줄어든다는 게 참......무섭네요
@mh-if9wt
@mh-if9wt Год назад
몇년전에 세상은 점점 더 타고난 능력이 중요해진다는말을 들었는데 그말이 지금 상황인거같아요
@user-fy2gr2ww3b
@user-fy2gr2ww3b Год назад
거래사실 주고 I/S,B/S 만들어달라고 하니까 뚝딱하고 만드는거 보고 세시 준비하는게 맞나 싶었습니다...과연 어디까지 대체될련지...
@user-vg2mw1bp9r
@user-vg2mw1bp9r Год назад
ai는 조별과제 자료조사에서 빛을 발하죠.. 원하는 글 싹 긁어와서 글의 목적을 정해두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라 하면 정말 검토만 하면 되기 때문에..
@chchmm
@chchmm Год назад
기술의 발전 속도가 10이라면 제도의 정착,안정화는 1의 속도수준인거같음 대표적으로 자율차에 관한 제도가 얼마나 빠르게 안정화되는지가 앞으로 등장할 여러 과학기술의 대중화 속도?에 영향을 줄거라생각하고있음
@mangnanyong
@mangnanyong Год назад
이제는 지식보다 지혜가 더 중요!
@parkdongho348
@parkdongho348 Год назад
교수님 모듈러 주택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sokmmhealth
@sokmmhealth Год назад
정보 가공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내는 능력이 중요할 것 같아요.
@user-wv5jc6jt8t
@user-wv5jc6jt8t Год назад
교수님의 혜안이 느껴집니다. 객관성을 유지하시려는 의지도 좋구요. 그러나, 고급 정보를 잘 처리하는, 인공지능이 대체하기 어려운 영역을 가지면 된다는 것은... 거기까지 가는 과정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는 소수를 위한 말인 것 같아요. 그리고 그 소수마저 이제는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야 빠르게 거기에 갈 수 있을거구요. 그러니, 받치고 있는 80% 사람들의 마음에 위안을 주기 위한 최상위 20%로가 되라는 해법은 그냥 위로를 위한 착각을 유도하는 말 같아요.
@littleforest2020
@littleforest2020 Год назад
벌써 100만 다 되가네요 ❤
@google-user8421
@google-user8421 Год назад
공장자동화가 처음 나올때도 더 이상 인간은 힘든 노동에서 벗어나 관리만 하고 편하게 살꺼라고 했었는데 공장자동화가 제조 기업의 공장의 힘든 노동에서 일부 일자리를 대체하긴 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힘든 노동으로 일하는데...
@user-fb2tz5wn7v
@user-fb2tz5wn7v Год назад
나만의 독특한 알고리즘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이제 믹 수능 치르고 대학에 온 20살인데 다가올 미래가 예상되지 않아요 ㅠㅠ 책을 많이 읽는 건 단지 지식을 습득하는 것일 것 같은데 편집하는 능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bburorong
@bburorong Год назад
컴공이라 chatgpt를 항상 사용하는데 이게 도움은 돼도 이걸로 다 할 수는 없더라구요.... 그냥 도움이 되는 정도..? 좋긴 합니다
@yujoeingan
@yujoeingan Год назад
요즘은 배우는지 모르겠는데 추론이라는걸 배우게 됩니다 이 과정이 굉장히 중요한데.. 시험에 나오는게 아니니까 그냥 스쳐지나가거나 나오더라도 추론이라는 과정에 대한 중요도를 말하는 것보다 과정의 순서가 뭐냐.. 이런 쪽으로 문제가 나오게 됩니다 정보에 대해서 늘 의심을 하고 심지어 내가 내린 결론에 대해서도 의심을 하면서 끊임없이 정보를 찾고 또 찾고, 찾은 정보를 정리하고 그렇게 하나의 결론에 도달함과 동시에 새로운 질문이 나와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스쳐지나가듯 배웠던 추론이라는 과정인거죠 꼭 학술적인 분야에서만 적용되는 이야기가 아니라 일상에서 업무를 할 때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user-yg9rj4vv6y
@user-yg9rj4vv6y Год назад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는다의 새시대버전이군뇨
@user-vl2hm8nf7v
@user-vl2hm8nf7v Год назад
방금 챗GPT로 과제하고 왔는데.^^…. ㅎㅎ
@evechovictor8396
@evechovictor8396 Год назад
챗지피티가 사람들을 '수동적'으로 만든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챗지피티의 활용도는 내가 어떤 주제에 대해서 '어떻게 질문하냐?'에 달려있습니다. 저런 랭귀지 모델을 도서관과 같다고 생각했을 때 사람들은 그 큰 도서관에서 내가 세부 내용을 정확히 알아내기 위해 기준을 잡고 내가 원하는 책만 골라 꺼낼 수 있게 '질문'이라는 도구를 통해 사전에 필터링 작업을 해야하는 겁니다. 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는 각종 법칙들은 절대로 발명된 것이 아니라 '발견'된 겁니다. '왜?'라는 질문을 시작으로요. 그런 점으로 미루어 봤을 때, 챗지피티는 오히려 인간들을 능동적으로 바꿔준다고 생각합니다. 그 능동적인 생각을 좀 더 빠르고 효율적이게 도와주는 툴이라고 생각해요. 가끔 뉴스나 외국 커뮤니티들을 보면 '챗지피티가 시키는대로 사업했더니 진짜 수익이 났다.'이런 글들이 올라오곤 하는데 왜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못하는 걸까요? 아무리 물어봐도 챗지피티는 뭔가 예상 가능한 원론적인 대답을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보자면 질문 스킬이 부족한 일반인의 경우 챗지피티한테 이렇게 물어봅니다. -성공할만한 사업에는 뭐가 있을까? 그 사업을 지금 해보고 싶은데 너라면 어떻게 시작할 것 같아? -챗지피티: 온라인 쇼핑 배송, 건강 식품 판매... 하지만 질문 스킬이 풍부한 사람들은 -나에게는 100만원의 자본이 있고 이러이러한 사업을 할 건데 그 중 10만원으로 웹사이트를 만들고, 50만원으로 재료를 살거고, 15만원정도를 마케팅 비용에 쓸거야. 10만원으로 웹사이트를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50만원으로 재료를 사려고 하는데 더 싼 대체품이 있다면 알아봐 줘. 마케팅은 SNS를 통해서 할 예정인데 포스팅을 어떻게 작성할까? 또 남은 돈으로는 무엇을 하면 될까? 이런식으로 두루뭉실하고 원론적인 답변을 할 수 없게 하는 겁니다. 뿐만 아니라 자료 찾을 때도 질문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서 아웃풋이 다르기 때문에 결국엔 인간의 '질문 능력'이 더더욱 중요해지는 시대가 오는 겁니다. 거기에 더해서 저러한 언어모델들은 영어 기반입니다. 한글로 치면 유독 잘못된 정보가 많은 이유이기도 하죠. 그렇기 때문에 외국어를 능통하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해질겁니다.
@iiillliii-hc5mb
@iiillliii-hc5mb Год назад
마소의 bing ai나 구글의 Bard도 써보셨으면 좋겠네요. 몇 달만에 훨씬 더 좋아졌어요
@happylifep6092
@happylifep6092 Год назад
100만명 다 되어가네요. ㅡ 홧팅 ❤
@user-gs1qg7yg3r
@user-gs1qg7yg3r Год назад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능력이 중요할거같아요
@biddisjc
@biddisjc Год назад
진짜와 거짓 정보를 구분 할수있는 능력이 있어야 겠네요😅
@daecheongbasketball
@daecheongbasketball Год назад
학교 영어 수행평가에서도 챗GPT를 제한하는 규칙이 생겼는데.. 앞으로 더욱 더 영향을 끼칠 것 같습니다
@user-us8cd8jm3m
@user-us8cd8jm3m Год назад
근데 쓰는지 안쓰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지 않나요 😅
@papohaku
@papohaku Год назад
제한하는건 진짜 말도안된다고 생각해요.. 어차피 쓸 사람은 다 쓰기 때문에
@statekim8836
@statekim8836 Год назад
​@@user-us8cd8jm3m ai로 쓴 글인지 ai로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있대여
@user-sq5cs8fe7x
@user-sq5cs8fe7x Год назад
근데 그대로 쓰는 것도 아닐테고 본인이 좀 편집할텐데 아무리 용써도 본인이 했다고 하면 모르지
@ha__0
@ha__0 Год назад
​@@papohaku어차피 도둑질 할 사람들은 다 한다고 관련 법을 없애자는 꼴이군요
@GilJJoock
@GilJJoock Год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교양으로 잘 보고있습니다~~!
@user-kp5oh4ze6i
@user-kp5oh4ze6i Год назад
미국 고딩이에요 챗지피티 숙제할때 엄청 많이 써요!
@inhwanjang779
@inhwanjang779 Год назад
단순 자료조사 같은걸 내는 방식의 과제는 없어져야겠고, 곧 없어지겠죠. chatGPT는 물어보지 않은 것 까지 알아서 답을 내려주지 않아요. 내가 어떤 질문을 어떻게 던지느냐에 따라 쓰레기 같은 대답이 나올 수도 있고 훨씬 질적으로 좋은 대답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좋은 질문을 하기 위해선 최소한의 스스로 알고 있고,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점들이 고려된 자료조사가 과제로 나가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user-ff8ry4pt9b
@user-ff8ry4pt9b Год назад
인공지능 혁명이 나타나는 만큼 그것을 활용하고 어떻게 이용할지가 정말 중요해 보이네요
@__-zv1bq
@__-zv1bq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우리 6월 13일에 만나요❤❤❤
@definitely_someone4887
@definitely_someone4887 Год назад
안그래도 오늘 학교에서 챗gpt 썼다고 누명써서 기분 별로인데, 딱 맞춰서 제가 궁굼한 영상이 올라왔네요 ^^
@okdlIlllIIIll
@okdlIlllIIIll Год назад
실제로 저희 대학은 과제 레포트를 gpt답변이랑 직접 비교한다 하더라고요. 물론 대학원생분들이 검사 하시지만😅
@toyhound
@toyhound Год назад
에디톨로지 능력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생각합니다
@Diva-od5yi
@Diva-od5yi Год назад
챗gpt는 단순히 어떤 지식을 알려준다는 것 외에도 일상적인 얘기를 나눌 수 있고 조언을 구할 수 있고 상담도 받을 수 있음.
@ROMO-bf3ek
@ROMO-bf3ek Год назад
간만에 왔더니 100만이 머지 않았....우와....😲😲😲
@user-po8kn1mz1p
@user-po8kn1mz1p Год назад
꼰대처럼 들릴수 있는데 라고 말씀하신 부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booksetong
@booksetong Год назад
포크레인이 생기면 삽질하는 사람들이 사라지는게 아니라 삽질을 아주 잘하는 사람만 필요하게 되는 것처럼, 앞으로 모든 분야가 신입사원이 사라지는정도가 아니라 대부분의 사업들이 사람이 필요없어지게 되면서 수많은 프리렌서 사업자들에게 경쟁을 통해서 일을 맡기게 될것입니다. 건축업자를 예를 들면 지금은 큰 사무실이 직원들을 두고 일을 하지만 앞으로는 혼자서 하게 된다는 것이지요. 대신에 수많은 건축업자중에서 한명을 골라서 선택을 하는 선택이 폭이 커지게 될것 같습니다. 문제는 모든 분야에 되다 보니 결국 극소수의 사람들만 직업을 가지고 나머지는 실업을 하게 되겠지요. 결국 자신의 직업을 스스로 만들수 있는 사람을 교육으로 바뀌고 어린학생들 교육에서 전인교육으로 바뀌어야만 하게 될것 같습니다.
@user-wf7zt1qd8s
@user-wf7zt1qd8s Год назад
셜록현준 100만 곧이네요🎉
@Musket_Ukraine
@Musket_Ukraine Год назад
과제를 하기 위한 새로운 필기도구가 하나 더 생긴 거죠.
@user-bt1eb6dr6b
@user-bt1eb6dr6b Год назад
현재의 인공지능이든, 여지까지의 컴퓨터든간에 핵심은 같은거 같더군요. 통계. 패턴화. 단지 그 패턴화를 시키기 위한 소스가 이전에 비해 엄청나게 늘어났다는 차이인 거 같더라구요. 그러므로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래서 그런지, 이게 발전이 맞나…라는 의구심이 자꾸 생깁니다. 스마트폰도 새로운 걸 만든 건 아닙니다. 여태까지 있었던 기술을 융합한거죠. 전화기, 카메라, 메모장, 그 외 기타등등… 스마트폰이 하드웨어의 융합을 향해 나아간다면, 현재 디지털과 인공지능은 소프트웨어의 융합을 향해 나아간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융합에 융합이 과연 발전일까… 통계적으로 정리된 모든 것은 필연적으로 다양성을 억제합니다. 현재의 세계를 둘러보면, 어느나라를 가더라도 비슷해지고 있습니다. 뉴욕이나 서울이나 도쿄나 거기서 거기죠. 다른 나라들도 죄다 비슷하게 나아가고 있습니다. 과거에 정보교류가 이만큼 활성화되지 않았던 시절엔, 각 나라나 각 지역이 자기만의 특성이 분명했습니다. 물론 현대로 오면서 편리해진 많은 것들이 있지만… 수많은 선택의 갈림길에서 단 하나의 방향으로만 모두가 가고 있다는 아쉬움은 어쩔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게 편리하고 세련되긴 하겠지만 엄청나게 재미가 없는 방향일 듯 하여 참 김빠집니다.😂😂 이 방법밖에 없는 건지…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Год назад
인간공부도 사실 패턴화에요
@user-bt1eb6dr6b
@user-bt1eb6dr6b Год назад
@@user-tg4ww6ke8t 물론입니다. 인간교육도 패턴화입니다. 그렇기에 이렇게 모든 지역이 비슷해지고 있는 거겠죠. 요즘 인공지능이 단순히 통계를 통한 패턴화를 뛰어넘어, 재귀개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고 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인간교육도 이러한 단계로 가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단순히 패턴화잘하는 능력을 뛰어넘어 재귀개선하는 능력을 상승시켜야 할듯요~ 아이들에게 1+1은 2라는 걸 가르치려면, 다른거보다 그냥 외우게 하는게 제일 빠릅니다. 어째서 그런거냐고 설명하려 들면 가르치는 입장에서도 혼란에 빠져버려요. ㅎㅎㅎ 그런데 이젠 그걸 생각해보는게 점점 중요할 거 같아요. 그리고 왜 1+1은 2지? 다른경우가 어마어마한데, 어째서 그게 기본일까? 다른 알고리즘은 불가능할까? 요딴걸 일반사람들도 심각하게 생각해야 할지도요…
@user-zj5ew7ki2q
@user-zj5ew7ki2q Год назад
책상 정보 알려주세요~!
@ezrealove
@ezrealove Год назад
10:23 일자리 문제
@yoyuyuk
@yoyuyuk Год назад
며칠전 외신에서도 뉴스 봤어요. 월가에서도 주니어급 직원들이 하는 일을 ChatGPT가 한다고…
Далее
What Is an AI Anyway? | Mustafa Suleyman | TED
22:02
Просмотров 1,2 млн
돈과 꿈에 대하여 : 상담소 A/S
13:29
Просмотров 643 тыс.
Sinfdosh xotin 7😂
01:01
Просмотров 1,9 млн
이 공간이 소름끼치는 이유
14:48
Просмотров 1 млн